728x90

http://cafe.naver.com/investclass/369 에서 일부 + 기타 여러 소스 정리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기초자본+기말자본)/2 * 100%
= 당기순이익/연평균자본 * 100%

= Net Income * Sales * Assets
Sales Assets Equity

= Profitability * Activity * Solvency

= 당기순이익/매출액 * 매출액/총자산 * 총자산/총자본
= Net Income/Assets * Assets/Equity
= ROA * Assets/Equity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ROE의 의미

순이익은 원칙적으로는 회사에 자본을 투자한 주주들에게 돌아갈 몫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순이익을 당해년도 평균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이 자기자본 순이익률, ROE(Return On Equity)이며, 주주들의 투자수익률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의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는 ROE는 장기저축예금의 금리 이상은 되어야 한다. ROE가 은행의 금리보다 낮으면 경영자가 충분한 사업실적을 달성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순이익이 줄더라도 배당금을 지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기자본을 줄여서 ROE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총자산 순이익률(ROA)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자기자본(=주주자본) = 납입자본 + 누적이익잉여금

2. ROE의 구조적 분석

■ ROA
= 당기순이익/평균총자산
= 당기순이익률 * 자산회전율
= (당기순이익/매출액) * (매출액/총자산)

총자산 순이익률, ROA(Return On Assets)는 기업의 전재산인 자산을 투입하여 순이익을 얼마나 획득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당기순이익/자산*100"으로 구한다.
ROE와 마찬가지로 판매마진을 높이거나 각종 자산의 회전율을 높여야만 ROA를 끌어올릴 수 있다. 왜냐하면 총자산 순이익률은 "순이익률(순이익/매출액) * 총자산 회전률(매출액/자산)"으로 분해할 수 있다. 즉 총자산 순이익률을 증가시키려면 순이익률을 높이거나 총자산 회전율을 늘려야만 한다.
만일 순이익률은 높으나 자산 회전률이 낮으면 판매마진은 높았으나 판매활동이 부진했음을 의미한다. 반대의 경우라면 판매마진은 낮았으나 영업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뜻하게 된다.
고객의 예탁금이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금융업종에서는, ROE로는 전체 경영성과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ROA를 대표적인 성과지표로써 활용하고 있다. 워렌 버핏은 우수한 금융업종 기업이라면 1% 이상의 ROA를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 ROE
= ROA * 재무레버리지(A/E)
= 당기순이익률 * 자산회전율 * 재무레버리지
= 당기순이익률 * 자본회전율

□ 자산회전율: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 를 나타내는 지표
= 매출액/자산

□ 자본회전율: 주주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 를 나타내는 지표
= 매출액/자본

□ 재무레버리지: 자기자본이 총자산에서 차지하고 있는 정도
즉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의 비율로서 타인자본을 얼마나 지렛대
로 활용하는가? 를 나타내는 지표

상기의 수식에서 보듯이 ROE가 증가한다는 것은

▷ 순이익이 증가한다
▷ 매출이 증가한다
▷ 자산이 증가하는 만큼 혹은 그 이상 매출과 순이익 증가하여야 한다
▷ 자기자본이 증가하는 것 만큼 혹은 그 이상 매출과 순이익 증가하여야 한다
▷ 타인자본을 활용하여 매출액이 늘어나는 정의 레버리지가 나타난다면, ROE도 높아진다

등의 도해가 가능할 듯 싶다....


3. ROE의 유용성

ROE는 기업이 내재가치를 분석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주가와 기업의 가치가 적정한 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ROE는 기업이 경제적 해자를 구책했는 지를 보여주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은 것이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자기자본에 비해 높은 이익을 올리는 기업만이 주주의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성장을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이다. ROE가 주주의 입장에서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단순한 이익의 성장율이나 매출성장율을 평가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척도가 되는 것이다.(회계상의 이익은 분식으로 인해 왜곡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익성장율과 같은 단순한 개별지표를 평가하는 것보다 모든 지표가 혼합되어 있는 ROE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면 그 왜곡을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투자자들은 상기의 수식과 도해에서 보듯이 ROE가 높은 기업을 선정해서 투자해야 한다. ROE가 높은 기업은 순이익성장률이 높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으면서도, 꾸준히 자기자본 즉 해당 기업의 순자산가치가 증가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장부가치가 올라가면서 주주이익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ROE가 증가한다는 것은 투자자의 가치/가격지표인 PER와 PBR의 진정성과 순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는 비율만큼 주가대수익비율과 주가대순자산비율도 거의 같은 비율로 증가한다는 의미로서 해당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의 예측가능성과 정확성이 증가한다는 의미와 같다


4. ROE 평가 시 몇 가지 고려사항(ROE의 왜곡)

① 과다한 재무레버리지를 활용하는 지 살펴봐야 한다.

ROE가 높은 기업중에서도 이자부부채인 차입금의 비중이 적은 기업일수록 ROE의 순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훨씬 투자가치가 높다. 재무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수익을 증가시킴으로써 ROE의 분자값인 당기순이익을 왜곡시킬 수 있는 과다한 재무레버리지는 주주의 입장에서는 수익률의 순도가 떨어진다. 물론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차입금조달비용을 상회하는 이익을 달성한다면 나쁠 건 없지만, 기업이 항상 타인자본조달 비용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달성할 수는 없다. 또한 과다한 재무레버리지 활용은 기업에 불황이 닥쳐 실적이 좋지 않으면 차입금의 이자비용이라는 고정비의 증가로 인해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수 있다.

②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고 있는 지, 배당성향을 높이고 있는 지 살펴봐야 한다

기업은 순이익으로 재투자를 할 것인 지 내부유보를 할 것인 지 결정을 한다. 재투자나 자본지출을 제외하고 남은 내부유보한 돈은 주주에게 환원하기 위해서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을 하고, 남은 최종적인 돈은 이익 잉여금의 증가와 함께 주주자본인 자기자본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ROE값을 의도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배당성향을 전에 없이 대폭 증가시킨다든지, 자사주를 대폭 매입한다든 지를 살펴야 한다. 성장이 정체되어 있거나 새로운 성장엔진을 확보하지 못한 기업의 경우 감소할 ROE를 감안하여, 자기자본 증가에 기여할 이익잉여금을 줄이기 위해 남아도는 내부유보금을 대폭적으로 주주환원정책으로 사용하여 ROE값을 의도적으로 왜곡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에는 주주의 입장에서는 무조건 좋을 수만은 없을 것 같다. 여기에 배당의 함정이 있다. 양날의 칼과 같이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이 있기 마련이다.

③ 일회성이익의 증가에 의해 ROE가 증가하는 지도 살펴야 한다.

기업은 부동산/유가증권 매각이익 및 대손충당금 환입이나, 모회사에서의 분사 등에 의해서(자기자본이 줄어듬) 등의 일회성이익이나 구조조정으로 인해 ROE가 큰 폭으로 증가할 수 있으므로 경상이익의 세부항목을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④ ROE가 꾸준한 지 변동폭이 큰 지 살펴야 한다

지극히 당연하게 ROE가 꾸준한 기업이 좋다. ROE는 5년 이상 10~25%를 꾸준한 수치로 유지하는 기업이 좋다.
ROE가 한 해는 좋았다가 두 해는 나쁘고 변동폭이 큰 기업은 일시적인 호황의 부산물이거나 경기순환적인 기업일 가능성이 크다. ROE가 일시적 호황으로 인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수익극대화를 위한 효과적인 모멘텀 플레이는 가능하다.

기업의 현재가치가 미래 현금흐름의 할인값이라는 고리타분한 DCF 가치평가방식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ROE의 꾸준함은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한 판단요소라고 할 수 있는 해당 기업의 장기 이익과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예측 가능성과 정확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출처 : http://trigger.tistory.com/64

728x90

자세한 내용은 와이즈리포트(http://www.wisereport.co.kr/)에서 확인하세요.

증권사 포트폴리오 종목 추천사유
우리투자 Large Cap 추천종목  투자은행업에서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업 고객네트워크 보유와 리서치 등에 강점을 보이고 있어 타사대비 상대적으로 견조한 실적을 기록할 수 있을 전망  또한, FY 2012년 부터는 일회성 비용 부담이 적고 산업은행과의 시너지 창출 기대감이 높은 가운데 국내증시 거래대금 증가세, 낙폭과대에 따른 가격메리트 등에 주목할 필요
 2/4분기에는 저가로 수주받은 벌크선박의 인도 척수 감소와 환율강세 및 후판가격 인하 효과로 조선 빅3와는 달리 점진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  또한, 동사는 올해 상반기까지 추가적인 PCTC를 수주하면서 약 11.5억불의 신규수주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익성을 고려한 PCTC와 LPG선박을 중점적으로 수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타 조선사와의 차별화가 가시화될 전망
 2/4분기 실적은 분기 평균환율 상승 등으로 전분기대비 악화돌 전망이나 국제여객 탑승률이 양호한 상승세를 지속하고 유가하락분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3/4분기부터는 큰 폭의 영업이익 증가세가 기대  또한 하반기 추가 항공기 도입에 따라 연말 기준 여객 69기, 화물 11기로 공급력이 증가할 예정으로 경쟁사 대비 부족한 공급여력도 점차 해소될 전망
Mid-small Cap 추천종목  국내외 IC Chip카드 전환, NFC 및 LTE 상용화 수혜와 함께 실적 랠리 기대. 금융, 공공, 통신부문의 스마트카드(Smart Card) 시장 확대 및 글로벌 70개국의 고객사를 통한 매출 증가로 점유율 확대 전망. 올해 수출 비중은 매출의 54% 수준으로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예상됨  글로벌 스마트카드 시장은 2009~2014년까지 연평균 14% 성장할 것으로 전망. 특히, 중국·미주 시장은 금융 IC칩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음에 주목. 올해 상반기 중국 5대 은행 중 3개 은행에 중국 카드 제조사들과 합작하여 초도 물량 40만장을 공급했으며 향후 추가 공급 계약도 기대되고 있음
안정형 주식 포트폴리오  하반기 신작모멘텀 본격화 기대
한양 KOSDAQ  동사는 광학용 렌즈 및 이미지센서용 필터 생산업체로 2분기부터 삼성전자 플래그쉽 스마트폰향 

자세한 내용은 와이즈리포트(http://www.wisereport.co.kr/)에서 확인하세요.
728x90

자세한 내용은 와이즈리포트(http://www.wisereport.co.kr/)에서 확인하세요.

증권사 포트폴리오 종목 추천사유
대신 Monthly 유망 종목  중국의 경기부양책 시행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중국 경기 회복으로 인한 원자재 구매 증가로 수혜 예상  금 부문의 판매 호전으로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 것으로 전망
 유럽정상회담의 단기 대책 마련을 비롯해 중국, 미국 등의 추가 부양책이 예상되어 유가 상승으로 인한 수혜 기대  중국 경기 회복으로 자동차 시장 업황이 개선되면 타이어 수요 증가로 매출 증대 예상
 무료 인터넷 전화(mVolP) 허용으로 인한 음성매출 하락 이상으로 비통신 부문에서 이익을 만회할 것으로 전망  약정위약금 제도 변경으로 가입자들의 위약금 부담이 커지면서 가입자 방어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
 정부의 제 1차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 대상으로 선정되어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로 인한 혜택 기대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
삼성 삼성 TOP 10 포트폴리오  2분기 글로벌 판매량 전년대비 +7.2% 수준으로 분기 최대치 기대  신차 출시·ASP 상승 및 7월 북경 3공장 본격 양산 개시
 갤럭시S3 판매 호조로 스마트폰 시장 지배력 강화 지속 전망  AP·AMOLED 등 핵심 부품 경쟁력 강화를 통한 실적차별화 기대
 스마트 기기 확산에 따른 폴리머 배터리 성장세 가속화  갤럭시S3, 아이폰5와 같은 메가 아이템 출시에 따른 모멘텀 보유
 중동발 해외수주 불확실성 완화로 단기 급락한 주가 정상화 기대  화공·비화공에 이어 해양플랜트 부문 진출에 따른 성장 모멘텀 보유
 한국업체 외 해외업체 대상 다양한 Track Record 보유 긍정적  완성차 밸류에이션 대비 상대적인 저평가 구간으로 가격 메리트 보유
 삼성전자·애플 등 신규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FPCB 공급 확대 기대  신규 설비 증설에 따른 안정적 부품공급으로 견조한 외형 성장세 지속
 외환은행 합병에 따른 ROE개선 및 마케팅 협력으로 시너지 기대  양호한 자산 증가세와 대출성장률 회복으로 순이자 마진 개선 예상
 적정 재고관리에 따른 재고평가손실 감소로 하반기 수익성 회복 전망  시장 컨센서스 기준 PBR 0.9배로 역사적 벨류에이션 하단 도달
 2분기 유가하락에 따른 재고평가손 부담은 하반기 유가 안정화로 개선  3분기 이후 성수기 효과 기대 및 역사적 저점 수준의 밸류에이션
 모바일게임 매출 성장 및 해외 시장 진출 등 구조적 성장성 보유  카카오톡 게임센터 런칭· 구글 플레이 진출 등 제휴 시너지 예상
단기 유망 종목_New  12개월 예상 PER 6배 수준으로 자동차 부품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  현대차 그룹 및 GM과 같은 안정적 매출처 확보로 실적 안정성 보유  경쟁업체 대비 10~15%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 확대 지속
 국내외 건설 . 해양플랜트 투자 증가세에 힘입어 산업용 피팅 수주 모멘텀 지속  하반기 고온 . 극저온용 Alloy 등 고마진 제품 매출 비중 증가 및 제품 믹스로 실적 개선 기대  7월 신규 설비 가동은 생산능력 확대로 이어져 수주 증가 및 매출 확대에 따른 성장성 부각
 전세계 반도체용 레이저 마커 장비 시장의 50% 점유하고 있는 세계 1위 레이져 응용기기 업체  LCD·AMOLED·태양전지 등 동사 레이저 장비 적용 분야 확대로 신규 수주 모멘텀 부각  반도체 및 스마트 기기 관련 고마진 장비 매출 확대에 따른 하반기 실적 턴어라은드 기대
 글로벌 전력난과 셰일가스로 인한 가스가격 하락으로 글로벌 배열회수보일러 시장 성장 가속화  HRSG 부분 글로벌 3위 업체로 신규 수주량 급증으로 인한 외형 성장 모멘텀 지속  일본, 유럽업체 대비 높은 가격 경쟁력 보유로 지속적인 시장 M/S확대 가능성 증대
 32인치 이상 대형 TV용 광학필름(프리즘필름) 시장 면적기준 1위 업체  원가율 개선을 위한 TV업체들의 프리즘필름 및 마이크로렌즈 필름 수요 증가  신규사업인 도로교통표지판용 재귀반사필름(3M 독점 품목)의 본격적인 매출 기여 기대
우리투자 Large Cap 추천종목  동사는 연간 160만톤 규모의 PX 생산설비를 보유한 국내 최대의 PX 생산업체로 하반기에 PX업황이 회복 시 빠른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됨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연기된 PTA 신증설 공급 물량 출회로 인한 수요 증가로 PX 스프레드가 2/4분기를 저점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됨. 또한 현재 주가기준 시가배당률은 5% 수준으로 높은 배당성향에 따른 주가 하방 경직성도 기대
중립형 주식 포트폴리오  PX업황 회복시 빠른 이익회복 기대
안정형 주식 포트폴리오  하반기 성장스토리 기대
한양 KOSDAQ  동사는 국내 유일의 신용카드 PG 및 VAN 사업 영위 업체로 전자지불결제 시장의 성장이 지속되고 

자세한 내용은 와이즈리포트(http://www.wisereport.co.kr/)에서 확인하세요.

+ Recent posts